#2022년 글 다시보기
2022년 발행된 기사가 총 17건 있습니다.
좌담
-
- 2022년 좌담 지금, 여기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란 무엇인가 <3부> - 따옴표 옮기기: ‘위안부’에서 ‘문제’로
-
일본군‘위안부’문제를 다룬 학술의 장이 마련될 때면 청년·미래 세션이 빠지지 않는다. 피해 생존자와 연결된 실질적 감각이 부재한 포스트 메모리(후-기억) 세대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기실 여성학, 법학, 외교학, 사회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는 축적되고 있다....
-
- 2022년 좌담 지금, 여기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란 무엇인가 <2부> - ‘위안부’ 문제의 세대 전환
-
일본군‘위안부’문제를 다룬 학술의 장이 마련될 때면 청년·미래 세션이 빠지지 않는다. 피해 생존자와 연결된 실질적 감각이 부재한 포스트 메모리(후-기억) 세대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기실 여성학, 법학, 외교학, 사회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는 축적되고 있다....
-
- 2022년 좌담 지금, 여기에서 일본군위안부‘문제’란 무엇인가 <1부> - ‘위안부’ 문제를 마주하다
-
일본군‘위안부’문제를 다룬 학술의 장이 마련될 때면 청년·미래 세션이 빠지지 않는다. 피해 생존자와 연결된 실질적 감각이 부재한 포스트 메모리(후-기억) 세대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기실 여성학, 법학, 외교학, 사회학, 역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는 축적되고 있다....
논평
-
- 2022년 논평 한일양국의 시민들과 함께 ‘위안부’문제에 관한 공동연구를!
-
들어가며 ...
-
- 2022년 논평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생존자는 셀 수 있는가
-
이 글의 제목과 내용은 다음 졸고에서 추린 부분이 많다. 이혜령, 「그녀와 소녀들: 일본군 ‘위안부’ 문학/영화를 커밍아웃 서사로」, 오혜진 외,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
-
- 2022년 논평 타인의 고통을 경청하기 위하여
-
2017년 1월, KT 케이블 TV 서비스인 올레TV 영화 검색어 카테고리 중 하나가 ‘성폭행 영화’라는 사실이 논란이 되었다. ‘성폭행 영화’ 카테고리에는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다룬 영화 <귀향>(조정래, 2016)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역사적 고통, 실재한 피해를 재현할 때의 윤리가 창작자와 수용자(그리고 플랫폼)에 왜 중요한지를 실감하게 한 사건이었다....
-
- 2022년 논평 그들의 싸움에서 우리의 ‘문제(question)’를 재발견하기: 학술 콜로키움 <증언 이후> 리뷰
-
1. 정의 없는 “정의의 집”과 진실 없는 역사 전쟁 ...
-
-
- 2022년 논평 <되살아나는 목소리>를 통해 본 영화 <침묵>에 대한 단상
-
최근 박수남 감독이 제작하고 있는 장편 영화 <되살아나는 목소리>의 가편집본을 보며 박 감독님과 감독님의 따님이자 이 영화의 프로듀서인 박마의 씨와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다. 전작인 <침묵>(박수남, 2017)의 한국 쪽 제작에 도움을 드렸던 인연으로 나는 감독님의 신작에도 함께 하게 되었다....
-
- 2022년 논평 ‘시체 구덩이’의 응시와 ‘위안부’ 피해 기억의 재현
-
훼손된 몸의 (비)재현 ...
-
- 2022년 논평 ‘위안부’ 문제를 여성인권의 틀로 사유한다는 것
-
1. ‘여성됨’의 문제 ...
에세이
-
- 2022년 에세이 그래픽 노블 『풀』 일본어 출판을 통해
-
1. 시작 ...
-
- 2022년 에세이 일본군‘위안부’피해자 고 김양주 할머니를 보내드리며…
-
김양주 님은 1924년 전북 진안에서 태어나 1940년 마산 봉우제로 모이라는 말에 따랐다가 일본 순사들에게 끌려갔다. 1945년 해방이 될 때까지 만주의 위안소에서 고통스러운 나날을 보내고, 해방되자 피난민 대열에 끼여 군함을 타고 진도에 도착했다. 이후 식모살이, 청소 등을 하며 대부분의 생애를 어렵게 살았지만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등록을 하고 수요시위에도 참가했다....
-
- 2022년 에세이 이용수 선생님 방문기 2 - ‘세렌디피티 인 대구’
-
원투텐? 원투원! “아. 아… 여보세요 여보세요.” “렛 그랜마 리 카운트 텐.” “할머니, 하나부터 열까지 세보시래요.” “하나, 둘, 셋…” 10월 25일 아침. 이용수 선생님 댁 거실은 마이크 테스트가 한창이다. 영국 다큐멘터리 취재진이 선생님을 촬영하기 위해 방문했다. ...
-
- 2022년 에세이 수많은 “성찰”의 연속에서 -<2021 여성인권과 평화 국제컨퍼런스>후기
-
COVID-19와 온라인 개최 덕분에 얻은 특혜 ...
인터뷰
-
- 2022년 인터뷰 [김숨-소영현 대담] 최초의, 최선의, 최후의 질문 ‘듣기’
-
발화되지 못한 말을 듣는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김숨 작가의 중편소설 『듣기 시간』에 나타난 ‘침묵들이 말이 되는 자리’는 그간 우리가 놓친 증언자의 목소리를 되찾게 한다....
-
- 2022년 인터뷰 [김진아-김한상 대담] 여성 재현의 윤리와 난제들
-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는 <여성 재현의 윤리와 난제들>이라는 주제로 김진아 감독과 김한상 교수의 온라인 대담을 마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