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글 다시보기
2018년 발행된 기사가 총 23건 있습니다.
좌담
-
- 2018년 좌담 정영환X박노자 온라인 대담 - 탈분단적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 ‘위안부’ 문제 DAY 1
-
정영환X박노자 온라인 대담 탈분단적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 '위안부' 문제 DAY 1 ...
-
- 2018년 좌담 정영환X박노자 온라인 대담 - 탈분단적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 ‘위안부’ 문제 DAY 2
-
정영환X박노자 온라인 대담 탈분단적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 '위안부' 문제 DAY 2 ...
-
- 2018년 좌담 정영환X박노자 온라인 대담 - 탈분단적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 ‘위안부’ 문제 DAY 3
-
정영환X박노자 온라인 대담 탈분단적 시각으로 바라봐야 할 '위안부' 문제 DAY 3 ...
-
- 2018년 좌담 대중매체를 통해 바라본 일본군‘위안부’의 재현 <1부>- <여명의 눈동자>부터 <허스토리>까지, 대중매체를 통해 바라본 일본군‘위안부’ 역사의 재현전략
-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웹진<결>의 두 번째 좌담회의 주제는 ‘대중매체를 통해 바라본 일본군‘위안부’의 재현'이다. 2015년의 ‘불가역적 합의’와 『제국의 위안부』사태를 경유하여, 한국 사회에는 일본군 ‘위안부’ 담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일본군 ‘위안부’를 다룬 극영화나 다큐멘터리의 상영이 증가하고, 소설화되는 빈도도 높아졌다....
-
- 2018년 좌담 대중매체를 통해 바라본 일본군‘위안부’의 재현 <2부> - '위안부'를 둘러싼 재현의 윤리, 어디까지 묘사하고 재현할 것인가
-
‘위안부'를 둘러싼 재현의 윤리, 어디까지 묘사하고 재현할 것인가 허윤(부산외대 만오교양대학 교수) / 권은선(중부대 연극영화과, 영화평론가) / 오혜진(한예종, 문학평론가) / 김청강(한양대 연극영화학과 교수) 오혜진 ...
-
- 2018년 좌담 대중매체를 통해 바라본 일본군‘위안부’의 재현 <3부> - 재현물로서 <허스토리>의 성공과 실패
-
재현물로서 <허스토리>의 성공과 실패 허윤(부산외대 만오교양대학 교수) / 권은선(중부대 연극영화과, 영화평론가) / 오혜진(한예종, 문학평론가) / 김청강(한양대 연극영화학과 교수) 허윤 ...
-
- 2018년 좌담 편집회의 1부 - '위안부' 문제를 통해 무엇을 사유할 것인가
-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웹진 <결>의 발행을 앞두고 10인의 편집위원이 모여 웹진의 앞날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2019년 1월 31일, 2월 25일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된 편집위원 좌담회는 지금껏 '위안부' 문제가 논의되어온 방식과 한계, 그리고 앞으로 웹진 <결>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자리였다. ...
-
- 2018년 좌담 편집회의 2부 - '위안부' 문제로 대중을 어떻게 만나야 할까
-
권명아 (동아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 김헌주 (고려대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 소현숙(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연구팀장) / 여순주 ((전) 한국정신대연구소 연구원) / 윤명숙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조사팀장) / 이선이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연구교수) / 임경화 (중앙대 중앙사학연구소 연구교수) / 조경희 (...
자료해제
-
- 2018년 자료해제 일본군은 중국 점령 후 어떻게 ‘위안부’를 제도화했는가? (2)
-
上海 당안관 소장자료 『日僞上海특별시정부』 중 일본군'위안부' 관련 사료 (2) 위안부 동원에 관한 사료군 ③ 소장번호 『R1-3-134』 「정찰총대의 보고에 의하면 쟈딩의 정찰분대가 쟈딩 반장의 지시에 따라 군인위안소를 조직하는 경과 상황」 ...
-
- 2018년 자료해제 일본군은 중국 점령 후 어떻게 ‘위안부’를 제도화했는가? (1)
-
상하이당안관 소장자료 『日僞上海特別市政府』 문서철 중 일본군‘위안부’ 관련 사료 ...
논평
-
- 2018년 논평 '위안부' 문제의 초국가성과 기억의 글로컬화 1부
-
'위안부' 문제를 새롭게 사유한다 '위안부' 문제의 초국가성과 기억의 글로컬화 ...
-
- 2018년 논평 위안부 문제의 초국가성과 기억의 글로컬화 2부
-
'위안부' 문제를 새롭게 사유한다 '위안부' 문제의 초국가성과 기억의 글로컬화 3. '위안부' 문제는 「아시아연대회의」를 비롯한 국제적 시민연대가 주체가 되어 해결을 요구해왔다. ...
-
- 2018년 논평 지금/여기 ‘위안부’ 영화의 안과 밖 1부 - ‘남성영화’로서의 <귀향>
-
지금/여기 '위안부' 영화의 안과 밖 1부 '남성영화'로서의 <귀향> 이 글은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요청에 따라 『페미니즘 리부트』(2017)에 수록되어 있는 「기억의 젠더 정치와 대중성의 재구성: 대중 '위안부' 서사를 중심으로」을 요약하고 수정한 글입니다. 남성영화의 시대와 '위안부' 영화 ...
-
- 2018년 논평 지금/여기 ‘위안부’ 영화의 안과 밖 2부 - 다른 상상은 가능하다
-
다른 상상은 가능하다 이 글은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요청에 따라 『페미니즘 리부트』(2017)에 수록되어 있는 「기억의 젠더 정치와 대중성의 재구성: 대중 '위안부' 서사를 중심으로」을 요약하고 수정한 글입니다. '위안부'에 대한 다른 재현: <눈길>의 경우 ...
-
- 2018년 논평 중국의 일본군 성폭력 문제 방법으로 사유하기 <1부> - 중국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제기하는 문제
-
중국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들이 제기하는 문제 ...
-
- 2018년 논평 중국의 일본군 성폭력 문제 방법으로 사유하기 <2부> - 중국의 일본군 성폭력 피해 재현의 딜레마: 딩링(1904년~1986년)의 작품과 피해자들
-
중국의 일본군 성폭력 피해 재현의 딜레마: 딩링(1904년~1986년)의 작품과 피해자들 ...
-
- 2018년 논평 중국의 일본군 성폭력 문제 방법으로 사유하기 <3부> - 중국의 일본군 ‘위안부’ : 용서와 화해란 누가 청할 수 있는 것일까?
-
‘관대한' 정책에 따른 ‘결정' 중국에서 일본군 성폭력 피해를 입은 여성들이 일본 정부에게 사죄와 배상을 청구하는 재판을 시작한 것은 1992년이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강간에 대한 조사와 논의로 1997년 북경출판사의『일본군 중국침략 폭행실록』정도가 나왔다. 그전까지 중국에서 일본군 ‘위안부’나 성폭력은 거의 논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
에세이
인터뷰
-
- 2018년 인터뷰 <만나다, 그리고 보듬다> 안해룡, 이토 타카시 인터뷰
-
<만나다, 그리고 보듬다> 안해룡, 이토 타카시 인터뷰 ...
-
-
- 2018년 인터뷰 기억해야 할 첫 발걸음, 1세대 연구자를 만나다 - (2) 송연옥
-
송연옥 (문화센터 아리랑 관장 / 아오야마가쿠인대학교 명예교수) ...
-
- 2018년 인터뷰 기억해야 할 첫 발걸음, 1세대 연구자를 만나다 - (1) 윤정옥
-
윤정옥(1925년~ / 영문학자, 인권운동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