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1 이후 일본의 원폭 영화 (1)

김성운 김효연

  • 게시일2023.09.04
  • 최종수정일2023.09.04

우리는 전쟁이 인간에게 남기는 심원한 고통에 관해 얼마나 아는가.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뿐 아니라 원폭 피해자와 사할린 잔류자의 인권 문제 또한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서 배제되었다. 특히 원폭 피해는 전시 성폭력과 유사하게 몸에 직접 작용하여 성적 재생산 권리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일종의 사회적 낙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웹진 〈결〉은 연구자 2인의 글에 원폭 피해자들의 일상을 담은 김효연의 사진 작업 ‘감각이상’을 병치하는 기획을 마련했다.

글: 김성운 X 사진: 김효연

*이 에세이는 김성운 교수의 논문 「3.11 이후 일본의 원폭 영화: 「어머니와 산다면(母と暮せば)」, 「태양의 아이(太陽の子)」를 중심으로」, 『일본연구논총』 56집, 2022, 91-116를 요약, 정리한 글입니다.

 

원폭 1세대 할머님(촬영 당시 90세)의 여윈 다리와 양말, 합천(김효연, 감각이상 057, 2018) ⓒ김효연

 

I. 후쿠시마에서 히로시마·나가사키로

2011년 3월 11일 일본의 태평양 연해상에서 일어난 규모 9.0의 대지진에서 비롯된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여러모로 히로시마·나가사키의 원폭을 상기시키는 사건이었다. 수소 폭발에 이은 다량의 방사능 물질이 인근 지역을 뒤덮으면서 원폭이 가져온 방사능 재해의 기억이 소환되었다. 또한 히로시마·나가사키의 피폭으로부터 시작된 전후 일본의 원자력 정책 자체에 대한 재검토가 다방면에 걸쳐 일어났다. 

유일한 피폭국이었던 일본은 전후 원자력을 ‘평화적으로 이용’하는 원자력 발전소 건설 정책을 의욕적으로 추진했다. 1945년 히로시마·나가사키의 기억은 일본이 원자력 발전소를 받아들이는 데 오히려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다수의 일본인들은 핵에너지의 평화적 전환이 피폭국 일본의 책무라고 여겼다.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폭을 ‘신의 섭리’라 강조하여 ‘나가사키의 성인’이라 존경을 받았던 나가사키 의과대학 나가이 다카시(永井隆) 방사능 의학 교수 역시 원폭의 원리를 이용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면 인류의 행복이 증진될 것이고, 그렇게 된다면 나가사키 원폭 희생자들의 영혼도 위로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

이러한 논리는 일본 정부의 원전 정책 추진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일본에서 원전 도입에 가장 열성적이었던 쇼리키 마쓰타로(正力松太郎)가 사주로 있었던 요미우리 신문사는 원전 관련 박람회를 대대적으로 개최하여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일본인들의 관심을 환기시켰다. 1954년 도쿄 신주쿠 이세탄 백화점에서 개최된 ‘누구나 알 수 있는 원자력전’에서는 원자력 발전을 포함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사례를 히로시마 피폭의 처참한 이미지와 함께 전시함으로써, 원자력의 동력원으로서의 이용이 히로시마·나가사키 피폭의 경험을 극복하는 일임을 강조하였다. 

이와 같이 원폭 피해의 악몽을 인류의 행복으로 전환한다는 논리에서 출발한 전후 일본의 원자력 에너지 정책은 일본을 ‘원전대국’으로 만들었으며, 고도 경제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다. 1956년 6월 일본 원자력 연구소가 이바라키현 도카이무라(東海村)에 설치된 이래 원전 건설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1990년대 중반까지 일본 전역에 총 54기의 원자로가 건설되었다. 이로써 일본은 미국, 프랑스에 이은 세계 제3위 원전대국이 되었다.[2]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이렇게 원폭의 경험으로부터 출발한 일본의 전후 원자력 개발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郎)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역사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원자로 건설을 통해 인간의 삶에 대한 동일한 멸시를 드러내며 동일한 잘못을 저지르는 것은 히로시마 피폭자들의 기억에 대한 최악의 배반이다. (중략) 우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일본인들로 하여금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피폭자들을 다시금 기억하고, 원자력의 위험성을 인지하며, 그것이 효과적인 전쟁 억지력을 제공한다는 환상을 끝낼 수 있게 하기를 희망한다.[3]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 역시 같은 맥락에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원폭 체험과 연결시켰다. 2011년 6월 카탈루냐 국제상 시상식 연설에서 그는 히로시마·나가사키를 언급하며, 그로부터 66년이 흐른 시점에 다시금 일본이 방사능 피해를 입은 이유는 극도의 효율만을 추구했던 정부의 원자력 정책 때문이라고 주장했다.[4] 

이렇게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일본 원자력 정책의 파산이라는 측면에서, 그것의 출발점이었던 히로시마·나가사키를 소환했다. 원폭을 그린 영화들 역시 이러한 히로시마·나가사키의 역사적 의미에 대한 재고찰에 참여하면서 3.11 이전의 원폭 영화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글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개봉된 두 편의 영화 〈어머니와 산다면〉(야마다 요지, 2015)과 〈태양의 아이〉(구로사키 히로시, 2021)를 차례로 살피면서 이러한 재고찰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알아볼 것이다.
 

Ⅱ. 〈어머니와 산다면〉: 원폭의 ‘재역사화’
 

3.11 이전의 원폭 영화들이 대체적으로 보여주는 내러티브 경향은 원폭 체험의 탈역사화이다. 즉 전쟁과 침략이라는 역사적 맥락이 생략되고 원폭 피해가 마치 자연재해와 같이 피할 수 없는 운명과 같은 것으로 그려졌던 것이다. 이 내러티브 전략은 일본인이 ‘유일한 피폭국’의 국민임을 강조하는 ‘피폭 내셔널리즘’으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관습은 전후 발표된 최초의 원폭 영화인〈나가사키의 종(長崎の鐘)〉(오바 히데오, 1950)에서 시작되어, 히로시마 피폭의 참상을 끔찍한 비주얼적 요소로 표현한 대표적인 원폭 애니메이션〈맨발의 겐(はだしのゲン)〉(마사키 모리, 1983)에서 절정에 달했다.[5] 이러한 원폭의 탈역사화가 〈어머니와 산다면〉에서 어떻게 수정되고 있는지 살펴보자.

나가사키에 원폭이 떨어진 지 3년이 되던 1948년 8월 9일, 조산부 노부코는 3년 전에 피폭으로 흔적도 없이 사라진 둘째 아들 고지의 묘 앞에서 그의 죽음을 받아들이기로 결심하는데, 바로 그날 고지의 혼령이 홀연히 노부코 앞에 나타난다. 언제 무슨 일이 있었냐는 듯 다정한 아들로 돌아온 고지는 특유의 유쾌한 말투로 실의에 잠긴 어머니 노부코를 위로한다. 한편 고지의 약혼녀 마치코는 고지가 죽은 후에도 변함없이 노부코의 집에 드나들며 인연을 이어 나가고, 고지는 이런 마치코에게 여전히 미련이 남아 있다. 그러나 이미 죽은 고지를 마음속에서 떠나보내지 못하는 마치코를 안타깝게 여긴 노부코는 마치코에게 고지를 그만 잊고 다른 남자와 새 출발 할 것을 제안한다. 마치코는 이를 일언지하에 거절하지만 시간이 흘러 같은 학교에 근무하는 복원병 출신의 구로다와 약혼하고 함께 노부코를 찾아간다. 노부코는 마치코의 새 출발을 축복하고, 고지도 미련을 거두고 떠난다. 한편 피폭의 영향으로 건강이 악화된 노부코는 그날 밤 숨을 거둔다. 

이 영화는 오프닝 신부터 원폭 투하의 역사적 배경을 설명한다. 1945년 8월 9일 플루토늄탄을 탑재하고 출격한 B29기의 조종석과 미 조종사들의 대화를 보여주며 자막과 내레이션을 통해 원폭이 나가사키에 떨어진 경위를 설명한다. 우선 제1 목표인 고쿠라에 도착하였으나 시야가 확보되지 못하여 제2 목표인 나가사키로 방향을 돌렸고, 나가사키 역시 70% 이상 구름에 가려 시가지가 보이지 않았으나 갑자기 구름이 걷히고 시야가 확보되어 원폭을 투하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졌다. 영화는 폭격기의 조준망원경에 잡힌 나가사키 시가지의 모습과, 여느 때와 다름없이 서둘러 등교하는 나가사키 의과대학생 고지의 일상적인 모습을 번갈아 보여주며 곧이어 발생할 비극을 예고한다. 

B29기의 조종석과 나가사키 원폭 투하에 대한 설명(영화 〈어머니와 산다면〉 캡처본)

 

미국이라는 존재는 이후에도 계속 등장한다. 암시장 사업을 하고 있는 ‘상하이 아저씨’는 노부코에게 연정을 품고 암시장의 물건들을 조달해준다. 미 점령군에게서 빼돌린 비누를 노부코가 마음에 들어 하자 그는 “이런 고급스러운 물건을 만든 나라와 전쟁을 했다니, 멍청한 일이지!”라고 일갈한다. 이후 그는 미군이 포로에게 제공한 외투를 입고 와서 노부코의 이웃 도미에 아주머니와 이야기를 나눈다. 

상하이 아저씨: 미국은 대단해. 포로에게 이런 따뜻한 것을 입혔다니.
도미에: 일본은 질 수밖에 없었네.
상하이 아저씨: 예스!

이렇게 미국은 아시아·태평양 전쟁에서 일본의 적국이었다는 사실, 그리고 엄청난 국력을 보유한 미국에 일본이 도전한 일은 어리석었다는 사실이 지속적으로 상기된다. 

미 점령군이 포로에게 제공한 따뜻한 외투(영화 〈어머니와 산다면〉 캡처본)


이전의 원폭 영화에서 마치 자연재해처럼 거역할 수 없는 운명으로 그려졌던 원폭 피해도 이 영화에서는 ‘인간의 잘못’으로 묘사된다. 노부코와 고지는 고지가 나가사키 의대에 진학하던 때를 회상하며 다음과 같은 대화를 나눈다.

노부코: 의과대학이라면 징집을 연기할 수도 있고, 졸업 후 징집되더라도 군의관이 되면 죽을 일은 없을 거라고, 그렇게 생각하고 안심했었는데...
고지: 결국 똑같았지 뭐. 
노부코: 그랬지.
고지: 별수 없지. 그게 나의 운명이었으니까.
노부코: 운명? 지진이나 쓰나미는 막을 방법이 없으니까 운명이라 해도 이것은 막을 수 있었어. 인간이 계획해서 행한 엄청난 비극이야. 운명이 아니라고. 그렇게 생각하지 않니? 

이렇게 이 영화는 원폭이 운명이나 자연재해가 아니라 인간이 초래한 비극이었음을 분명히 한다. 즉, 원폭은 미국과의 전쟁의 일부였으며, 따라서 거역할 수 없는 운명이 아니라 인간이 만든 비극, 즉 ‘인재(人災)’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전 원폭 영화의 탈역사화 경향을 수정한다. 이러한 원폭 영화의 ‘재역사화’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 사회에서 일어난 인식론적 변화와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후쿠시마의 사고는 쓰나미가 원전의 비상 발전 시설을 무력화시킴으로써 일어났지만 결국 이러한 재해를 예측하지 못하고 안전 관리를 소홀히 한 원전 운영자 측의 ‘인재’로 평가되고 있다.[6] 이렇게 ‘인간의 잘못’으로 원전의 노심이 녹아 폭발에 이르고, 수개월간 방사능 물질이 공기 중에 배출된 참사는 66년 전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을 연상시키기에 충분했다. “지진이나 쓰나미는 막을 방법이 없으니까 운명이라 해도 이것은 막을 수 있었어”라는 노부코의 대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7] 이렇게 〈어머니와 산다면〉은 ‘인재’라는 고리로 후쿠시마와 나가사키를 연결한다.

 

각주

  1. ^ 서동주, 「일본 고도성장기 ‘핵=원자력’의 표상과 ‘피폭’의 기억」, 『日本學報』 99집, 2014, 441-443. 전후 일본의 원전 정책과 원전 건설의 역사에 대해서는 이 논문을 참조함.
  2. ^ Yoshimi, Shun’ya, Trans. Shi-Lin Loh, “Radioactive Rain and the American Umbrella”,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71, No. 2, 2012, 321.
  3. ^ Kenzaburo, Oe, “History Repeats”, New Yorker (28 March, 2011) https://www.newyorker.com/magazine/2011/03/28/history-repeats.
  4. ^ 川口隆行, 「대재난의 망각과 상기―포스트 3.11의 역사적 지층―」, 『일본학보』 129집, 2021.3.
  5. ^ 강태웅, 「원폭영화와 ‘피해자’로서의 일본」, 『東北亞歷史論叢』 24집, 2009, 55-64. 〈맨발의 겐〉은 히로시마에서 피폭을 경험한 만화가 나카자와 게이지(中沢啓治)의 동명 만화(1976)를 원작으로 하여 제작되었다. 원작 만화의 인기와 사회적 파급력으로 실사 영화와 드라마도 제작되었다. 또한 이 만화는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 번역되어 히로시마 원폭 피해의 처참함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일조했다. 佐藤忠男, 2016, 57. 
  6. ^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의 원인이 안전성보다는 경제성에만 치중한 설비 건설에 있다고 입을 모은다. 우선 비상용 디젤 발전기를 밀폐성이 높은 원자로 건물이 아니라 지하에 설치한 탓에 침수 피해를 그대로 입을 수밖에 없었다. 최고 5.7m 높이의 쓰나미를 상정하고 건설된 방호벽은 14~15m로 밀어닥친 쓰나미에 무력했다. 반면 추가적으로 방호벽을 강화한 후쿠시마 제2원전은 비상용 디젤 발전기 3대 중 2대가 정상 작동하면서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오나가와(女川) 원전을 소유한 도호쿠전력(東北電力) 역시 869년에 발생한 대지진까지 연구하여 예상 쓰나미 높이를 9.1m로 높인 결과 부분적인 피해에 그쳤다. 장정욱,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원자력의 미래: 아직도 계속되는 원자력 마피아의 거짓말」, 『프레시안』, 2011.08.18.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36817
  7. ^ 木村朗子, 「五年後の震災後文学論」, 『新潮』 113(4), 2016, 215-216.

 

참고문헌 

·川口隆行, 2021, 「대재난의 망각과 상기―포스트 3.11의 역사적 지층―」, 『일본학보』 129집.
·강태웅, 2009, 「원폭영화와 ‘피해자’로서의 일본」, 『東北亞歷史論叢』 24집.
·서동주, 2014, 「일본 고도성장기 ‘핵=원자력’의 표상과 ‘피폭’의 기억」, 『日本學報』 99집.
·장정욱, 2011,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원자력의 미래: 아직도 계속되는 원자력 마피아의 거짓말」, 『프레시안』,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36817.
·Kenzaburo, Oe, 2011, “History Repeats”, New Yorker (28 March) https://www.newyorker.com/magazine/2011/03/28/history-repeats.
·Yoshimi, Shun’ya, Trans. Shi-Lin Loh, 2012, “Radioactive Rain and the American Umbrella”, The Journal of Asian Studies 71, No. 2.
·木村朗子, 2016, 「五年後の震災後文学論」, 『新潮』 113(4).
·佐藤忠男, 2016, 「知らせることが、大切なこと」, 『キネマ旬報』 1718.
·杉田弘毅, 2005, 『検証非核の選択: 核の現場を追う』, 岩波書店.

연결되는 글

  • 3.11 이후 일본의 원폭 영화 (2)
    3.11 이후 일본의 원폭 영화 (2)

    세계 유일의 원폭 피해국인 일본이 결국 자국민은 물론 타 국민에게까지 방사능 오염의 피해를 입히는 가해국이 되었고, 이러한 전환의 가능성이 〈태양의 아이〉에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김성운, 김효연 2023.09.04

글쓴이 김성운

시카고대학교 역사학부에서 일본 TV 방송의 성립 과정을 냉전의 맥락에서 연구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는 덕성여대 사학전공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표 논저로 「3.11 이후 일본의 원폭 영화: 「어머니와 산다면(母と暮せば)」, 「태양의 아이(太陽の子)」를 중심으로」(2022), 「Japan’s Got Talent: The Rise of Tarento in Japanese Television Culture」, 『Reconsidering Postwar Japanese History: A Handbook』(2023, 공저) 등이 있다. 현재는 현대 일본의 미디어, 핵에너지, 젠더, 퀴어 문제 등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다. 

글쓴이 김효연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했다. 20대의 대부분은 현장에서 영화를 만들고 공부하며 보냈다. 현재는 잊혀지거나 감추어진 사건, 장소가 개인과 집단의 삶에 가져오는 변화에 관심을 두고 사진과 영상매체를 중심으로 작업하고 있다. 한국인 원폭 피해자와 그 세대를 추적한 작업으로 제12회 상상마당 KT&G SKOPF 올해의 최종작가(2019)로 선정되었다.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