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 피, 땀, 눈물: 일본군‘위안부’ 풀뿌리 운동사의 흔적을 매만지며 〈2부〉
    피, 땀, 눈물: 일본군‘위안부’ 풀뿌리 운동사의 흔적을 매만지며 〈2부〉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Herstory〉 전시가 탄생하기까지는 대학원생들의 보이지 않는 수고가 존재했다. ‘연구보조원’이나 ‘조교’라는 이름으로 일과 학업을 병행하며 자신의 삶과 연구자 정체성을 고민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원생 김효영, 민경택, 장찬영 씨를 청년좌담에서 만나 보았다.

    김효영, 민경택, 장찬영, 웹진 <결> 편집팀

  • 피, 땀, 눈물: 일본군‘위안부’ 풀뿌리 운동사의 흔적을 매만지며 〈1부〉
    피, 땀, 눈물: 일본군‘위안부’ 풀뿌리 운동사의 흔적을 매만지며 〈1부〉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Herstory〉 전시가 탄생하기까지는 대학원생들의 보이지 않는 수고가 존재했다. ‘연구보조원’이나 ‘조교’라는 이름으로 일과 학업을 병행하며 자신의 삶과 연구자 정체성을 고민하는 대한민국의 대학원생 김효영, 민경택, 장찬영 씨를 청년좌담에서 만나 보았다.

    김효영, 민경택, 장찬영, 웹진 <결> 편집팀

  • 일본군의 중국 여성에 대한 잔혹행위 기록하기
    일본군의 중국 여성에 대한 잔혹행위 기록하기

    전쟁으로 인한 피해와 고통이 끊이지 않고, 여성 강간이 여전히 무력 분쟁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오늘날 세계에서 ‘위안부’의 이야기를 사람들의 기억 속에 되살리는 일은 중요하다.

    페이페이 치우(Peipei Qiu)

  • 약하고 낮고 투박하지만 - 박숙이 생애사 연구
    약하고 낮고 투박하지만 - 박숙이 생애사 연구

    박숙이 할머니처럼 지방에서, 단독 주거 형태로, 90을 넘긴 늦은 나이에 피해자임을 밝힌 할머니들의 삶은 우리에게 어떻게 남을 것인가?

    김정화

  • 기억의 바다를 넘어서 - 관부재판이 1990년대 일본 사회에 물었던 것
    기억의 바다를 넘어서 - 관부재판이 1990년대 일본 사회에 물었던 것

    서로 다른 역사성 사이에서 공감의 길을 찾던 과정, 관부재판의 법정은 바로 그 현장이었다. 

    마치다 타카시

  • 원폭 피해자들은 왜 ‘유령’이 되었나 – 사진작가 김효연 인터뷰
    원폭 피해자들은 왜 ‘유령’이 되었나 – 사진작가 김효연 인터뷰

    개인의 역사는 곧 가족의 역사이자 한 국가의 역사다. 김효연 작가는 자신의 가족으로 인해 갖게 된 ‘의문’에서 그치지 않고 작업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물론 그 길로 가기까지 쉽지 않았다. 작업 과정에서도 치열하게 고민하며 때때로 엄습하는 두려움을 감내해야 했다. 그렇게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진행된 작업은 〈감각이상〉으로 세상에 공개됐다.

    김효연, 퍼플레이 강푸름

  • 냉전 시기 대만의 슬픈 낙원, 軍中樂園
    냉전 시기 대만의 슬픈 낙원, 軍中樂園

    대만의 군중낙원이, 종적으로는 식민제국주의 전쟁 시대의 일본군위안소가 어떻게 전후 탈식민 분단체제로 얽혀 들어가는지, 횡적으로는 동아시아 냉전과 군사문화의 연동 속에서 어떻게 위안소 및 ‘위안부’ 문제가 전유되고 담론화되며 새로운 파동들을 낳는지를 살피는 데 매우 중요한 고리라는 점이다.

    임우경

  • 일본군‘위안부’와 여성인권에 접근하는 네덜란드의 양면성
    일본군‘위안부’와 여성인권에 접근하는 네덜란드의 양면성

    국제사회는 오랫동안 여성에 대한 성폭력 문제에 소극적이었다. 전쟁 중 벌어지는 성폭력 문제는 전쟁의 부산물로 간주되곤 했으며, 식민체제 하의 여성인권은 ‘피식민’과 ‘여성’이라는 이중적 ‘타자’의 위치에서 무시되고 침묵되었다.

    문지희

  •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일본군‘위안부’와 바타비아 임시군사재판의 의의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일본군‘위안부’와 바타비아 임시군사재판의 의의

    전쟁 후 네덜란드는 전범재판을 위한 바타비아 임시군사재판(Temporaire Krijgsraad in Batavia)을 실시하였는데, 이 재판은 전쟁 중 행해진 성폭력과 일본군‘위안부’ 관련 사건을 다루고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문지희

  •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Herstory> 전시 이렇게 탄생했다
    <관부재판과 끝나지 않은 Herstory> 전시 이렇게 탄생했다

    창원대학교박물관에서 영화 <허스토리>의 모티브가 된 여성운동가 고(故) 김문숙의 삶을 통해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인정한 단 한 번의 순간이었던 ‘관부재판’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전시를 마련했다. 전시 기간은 2023년 2월 15일부터 5월 19일까지다.

    김주용

페이지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