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
- 감독의 목소리로 만나는 <오키나와의 할머니>
-
<2024 기림의 날 웹진 '결' 온라인 영화제> 상영작 중 한 편인 <오키나와의 할머니>를 더욱 깊이 있게 만날 수 있도록 돕는 감독의 솔직한 제작 이야기
-
- 귀를 열다, 더 잘 기억하기 위한 듣기의 모색
-
<2024 기림의 날 웹진 '결' 온라인 영화제> '귀를 열다' 섹션에서 소개하는 2000년대 이후 영화들은 일본군'위안부' 피해 생존자들의 증언 이후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재현하고 기록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집중한다.
-
- 입을 떼다, 절박한 파란 도깨비불 기록하기
-
<2024 기림의 날 웹진 '결' 온라인 영화제>의 첫 섹션 '입을 떼다'에서는 '위안부' 문제를 사회적으로 논의하기 시작한 초기의 혼란과 다양한 시각을 반영한 영화를 만나볼 수 있다.
-
- 2024 기림의 날 웹진 '결' 온라인 영화제 개최
-
2024 기림의 날을 기념하여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웹진 <결>에서 온라인 영화제를 개최합니다. 이번 온라인 영화제는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국내외 영화를 '입을 떼다', '귀를 열다' 두 개의 주제로 묶어 소개합니다.
-
- 국제사회 왜곡 막고 공감 넓힐 영문 ‘위안부’ 증언집 발간되길
-
징 윌리엄스 부교수와 필리스 김 대표는 미국에서 '위안부' 문제를 가르치는 방법을 담은 첫 번째 출간물이 될 공동 저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
- 미국 사회에서 ‘위안부’ 문제는 자국중심주의 극복하는 글로벌 시민교육
-
징 윌리엄스 교수는 가르치는 학생들 중에 여성 인권 옹호자가 나올 수도 있기 때문에 자신의 '위안부' 교육을 '미래를 위한 씨앗을 심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
- 국제법적 맥락에서 보는 전범 재판과 전쟁 책임
-
전범 자필진술서는 전쟁 범죄에 대한 접근 방식의 차이, 사죄의 의미나 용서 등 여러 가지를 다시 생각하게 한다는 면에서 여러 화두를 던지고 있다.
-
- Uncovering the Tragic Legacy: Movement for the Victim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n Timor
-
본 콘텐츠는 영문으로 발행되었습니다. 오른쪽 상단의 [EN]을 클릭하여 영문 웹진 <KYEOL>을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
- '중국귀환자연락회' 활동이 던지는 질문들
-
전범 자필진술서라는 형식의 고백이 어떻게 반성이나 성찰의 계기로 작용했을까 라는 질문이 떠오른다.
-
- 전장 없는 '주전장'과 정쟁화된 '위안부' 문제
-
'역사전쟁', '기억전쟁'이라는 수사 속에서 역설적으로 무수한 사람들이 죽고 여자들이 강간을 당한 실제 전쟁이 희미해지고 있는 것은 아닌지 성찰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