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 [포토스토리] 김복동이 단상에서 내려왔을 때
    [포토스토리] 김복동이 단상에서 내려왔을 때

    [기림의 날 특집] <나눔의 집>에 기거하던 시절에 찍힌 이 사진들을 통해 단상 아래로 내려온 김복동의 일상을 공유한다.

    웹진 <결> 편집팀

  • 할머니의 방 -이옥선 할머니 편-
    할머니의 방 -이옥선 할머니 편-

    <나눔의 집>에 기거하시는 할머니들은 어떤 일상을 살고 계실까. 웹진 <결>은  '방'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나눔의 집>에 사는 이들의 평범한 일상을 살펴보는 연재를 기획했다. 그 첫 번째 주인공은 바로 이옥선 할머니다. 

    김대월

  • 새로운 연대를 발명하는 ‘팀(Team) 『풀』’ 이야기
    새로운 연대를 발명하는 ‘팀(Team) 『풀』’ 이야기

    그래픽노블  『풀』(김금숙 저)을 일본에서 출판하기 위한 노력은 새로운 연대의 장으로 확장되었다. 김금숙 작가의 『풀』이 일본에서 출간되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이 작품에 지니고 있는 가치를 공유한다. 

    이령경

  • 이름들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것 -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  서평
    이름들로부터 읽어낼 수 있는 것 -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 서평

    일본군'위안부' 관련 명부에는 어떤 내용이 담겨 있고, 거기에서 무엇을 읽어 낼 수 있을까? 일본군'위안부' 관련 명부를 분석한 연구를 모아서 정리한  『덧칠된 기록에서 찾은 이름들』의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해본다. 

    공준환

  •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하-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하-

    일본군이 작성한 유수명부와 복원명부는 특정 인물이 전쟁 당시의 군인·군속 신분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찾은 조선인 여성들을 중심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들여다본다.

    강정숙

  •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상-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발견한 조선인 여성들 -상-

    일본군이 작성한 유수명부와 복원명부는 특정 인물이 전쟁 당시의 군인·군속 신분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유수명부와 복원명부에서 찾은 조선인 여성들을 중심으로 일본군'위안부' 문제를 들여다본다.

    강정숙

  • '위안부' 문제를 음악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 -2부-
    '위안부' 문제를 음악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 -2부-

    뮤지션 이정아, 최고은, 황푸하, 김해원이 음악으로 ‘위안부’를 이야기하다.  

    이야기해주세요 프로젝트

  • ‘위안부’ 문제를 음악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 -1부-
    ‘위안부’ 문제를 음악으로 이야기하는 사람들 -1부-

    뮤지션 김목인, 백정현, 김율희, 한받이 음악으로 ‘위안부’를 이야기하다.  

    이야기해주세요 프로젝트

  • 2주간의 소녀상 관찰기
    2주간의 소녀상 관찰기

    매일 수많은 사람이 오고 가는 왕십리광장에는 4개의 평화의 소녀상이 자리하고 있다. 이 에세이는 4개의 평화의 소녀상을 보고 느낀 2주간의 관찰기이다.  

    어효은

  • 전국의 소녀상을 만나다
    전국의 소녀상을 만나다

    전국 방방곡곡을 다니면서 75개의 평화의 소녀상을 그린 김세진 작가는 그 누구보다 많은 수의 소녀상을 자세히 관찰한 사람이다. 그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재 소녀상이 우리에게 주는 메세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김세진

페이지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의
새로운 소식을 받아보세요